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조건(나이,소득) 및 신청방법/중복가입 여부

by cream-e 2023. 4. 5.
반응형

 

 

청년 도약 계좌는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부 정책 중 하나로 보다 많은 청년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가입 조건 중 소득 조건의 폭이 넓어졌다.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고 매월 정부의 기여금과 함께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 가입대상 : 만 19~34세의 청년 (단,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 기간(최대 6년)은 연령 포함하지 않는다)
  • 개인소득 기준 : 총 급여 기준 6,000만 원 이하는 정부 기여금 지급과 비과세가 적용된다. 총 급여 기준 6,000~7,500만 원은 정부 기여금 지급 없이 비과세만 적용된다.
  • 가구 소득 기준 :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이면 가입이 가능하다.
기준중위소득 180% 가구원수
가구원수 소득 건강보험료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1인 3,501,000  123,332 120,104 1234,786
2인 5,868,000 206,291 220,611 209,1473
3인 7,500,000 266,083 295,553 553,614
4인 9,218,000 334,652 369,311 350,228
5인 10,884,000 398,320 435,141 434,898
6인 12,433,000 434,898 472,366 473,200
7인 14,005,000 511,709 549,554 567,870

 

 

청년 도약 계좌 기여금 안내 및 이율

  • 개인소득과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서 정부에서 기여금을 지원한다.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기여금을 더 주는 구조로 되어있다. 납입한도는 월 70만 원이지만 소득별 기여금 지급한도를 납입하면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예) 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70만 원 납입하면 기여금 매칭비율 6.0%로 계산하면 42,000이지만 기여금 지금 한도 금액인 40만 원으로 계산하여 24,000원을 준다. 고로 개인소득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40만 원만 납입해도 기여금을 받을 수 있다는 말이다.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
개인소득(총급여기준) 본인 납입한도(月) 기여금 지급한도(月)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月)
2,400만원 이하 70만원 40만원 6.0% 2.4만 원
3.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3만 원
4,800만원 이하 60만원 3.7% 2.2만 원
6,000만원 이하 70만원 3.0% 2.1만 원
7500만원 이하 - -   -

 

 

  • 금리: 가입 후 3년 고정금리 +이후 2년 변동금리
  • 만기 수령액 : 본인 납입금 + 정부 기여금 + 이자(비과세)
  • 개인소득 2400만 원 이하인 경우는 우대금리를 부여할 예정이라 하고, 정부 정책의 하나이기 때문에 시중 은행보다 금리가 좋을 것으로 예상된다.

 

청년 도약 계좌 신청방법

  • 취급 기관 앱을 통하여 23년 6월부터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 가입 후 1년을 주기로 유지 심사를 하여 변화된 개인 소득으로 기여금 지급 여부와 금액이 조정된다.(단, 가구 소득 변동은 반영되지 않는다)

중복가입 여부

  • 자산 형성 도와주는 정부 정책 중에서 복지상품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 등을 위한 상품은 동시 가입을 허용한다.(청년 내일 저축계좌, 청년(재직자) 내일 채움 공제, 지자체 상품 등)
  • 단 청년희망적금은 중복가입 불가(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 도약 계좌 순차가 입을 해야 한다)

 

소득이 높으면 정부 기여금이 없어서 가입할 이유가 있을까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일단 비과세가 된다는 것만으로도 가입할 이유는 충분한 것 같다. 조건이 되는 사람들은 우선 가입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청년 내일 저축계좌 조건 및 신청방법 결과발표

 

청년 내일 저축계좌 조건 및 신청방법 결과발표

청년 내일 저축계좌는 높은 청년 실업률과 고금리 고물가로 인한 청년층이 빈곤위험군으로 부상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정부에서 청년층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정책 중 하나이다. 제시하는

cream2.tistory.com

 

청년희망적금 청년 도약 계좌 비교 및 갈아타기, 중복 가입 여부/정부 지원금

 

청년희망적금 청년 도약 계좌 비교 및 갈아타기, 중복 가입 여부/정부 지원금

정부에서 청년 자산 형성 지원하는 정책 중에서 지난해 2월에 청년 희망적금을 출시하였었다. 일반금리 5%로 여러 조건들이 더해져서 약 9%대의 금리 효과와 비과세 혜택이 더해진 상품이었다.

cream2.tistory.com

 

반응형

댓글